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관리

[산업안전관리] 안전보건경영시스템과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조사의 이해

by LSB98 2025. 4. 25.
728x90
반응형

1. 안전보건경영시스템(OSHMS)

- 정의 : 사업장이 자율적으로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예방 활동을 체계화하여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힌 시스템

- 목적 : 안전과 경영의 통합, 자율적 예방활동 기반 확보, 안전문화 정착

- 기본원리 : PDCA 사이클

PLAN(계획) : 방침 수립, 목표 설정

DO(실행) : 계획대로 안전보건활동 실행

Check(점검) : 성과 평가, 문제점 확인

Act(개선) : 문제 개선 및 재계획 수립

 

2. OSHMS 구성 문서 체계

✅ OSHMS 문서 체계 정리표

문서 종류 설명 예시
매뉴얼 전사적 운영방침과 기준 수립 안전보건방침 문서
절차서 구체적 업무 수행 절차를 기술 안전작업절차서
지침서 실무 수준의 구체적 작업 지시 제공 작업지시서

 

3. ISO 45001 vs KOSHA-MS 비교

✅ ISO 45001 vs KOSHA-MS 비교표

항목 ISO45001 KOSHA-MS
인증기관 국내외 공인 인증기관 안전보건공단
인증범위 전 업종 공통 적용 건설업 등 업종별 분리 적용
구조 HLS(High Level Structure) 기반 ISO와 유사하나 국내 산업 실정 반영
적용지역 전 세계 국내 한정
특징 국제표준, 글로벌 경쟁력 확보 정부 지원, 자율 활동 강화

 

4. 안전문화 vs 안전풍토

안전문화 : 조직 구성원이 공유하는 가치, 믿음, 태도 -> 행동과 제도에 영향

안전풍토 : 조직의 정책, 절차, 실천에 대한 구성원들의 지각 (보다 표면적 개념)

 

5. 근골격계질환(MSD) 유해요인조사

정의 : 반복작업, 부적절한 자세, 과도한 힘, 진동 등

법적 근거 : 산안법 제 39조, 안전보건규칙 제 656조 등

목적 :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위험요인 제거 및 관리

 

📌 유해요인 분류
- 작업요인: 반복성, 부자연스런 자세, 과도한 힘, 진동 등
- 개인요인:연령, 성별, 운동 여부, 비만 등
- 사회심리요인:직무 스트레스, 직업 만족도 등

 

6. MSD 대표 질환 및 평가기법

✅ 근골격계질환 주요 질환 및 증상 정리표

질환 증상 설명
요추간판탈출증 허리디스크, 허리 통증 및 다리 저림 증상
수근관증후군 손목 신경 압박, 손 저림, 특히 야간 통증 발생
방아쇠손가락증 손가락 움직일 때 딸깍 소리, 굳거나 펴기 어려움
수완진동증후군 진동 노출로 손가락 차가움, 창백해짐(백지증) 발생

 

7.  MSD 평가 도구

도구 특징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 전신 평가,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점수화하여 위험성 평가
RULA (Rapid Upper Limb Assessment ) 주로 상지(팔, 목, 어깨) 자세를 평가
NLE (NIOSH Lifting Equation ) 들기 작업 시 적정 무게를 산출하여 과부하 여부 판단
SI (Strain Index) 손과 손목의 사용 강도를 분석하여 위험 평가
OWAS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ng System) 작업 자세를 분류하고 개선이 필요한 자세를 권고

 

8. 유해요인조사 시기

- 정기조사 : 3년마다, 신설 사업장은 1년 이내
- 수시조사 : 질병 발생, 작업환경 변경 등

 

9. 근골격계부담작업 기준 (11가지 유형)

✅ 근골격계부담작업 기준 정리표

기준 번호 작업 예시
1호 키보드, 마우스 사용 4시간 이상
2호 손, 팔 반복작업 2시간 이상
3호 팔을 어깨 이상 위치에 2시간 이상 유지
4호 허리·목을 비트는 자세 2시간 이상
5호 쪼그림, 무릎 꿇기 자세 2시간 이상
6호 ~ 11호 물체 들기, 충격 반복작업 등 다양한 조건 해당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