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스템안전(System Safety)의 개념
정의 : 시스템 수명주기 전 과정에서 수용 가능한 위험 수준을 확보하기 위한 과학.공학.관리적 접근
단순 요소가 아닌, 시스템 전체를 대상으로 위험을 예측하고 통제
시스템 수명 주기 : 구상 -> 정의 -> 개발 -> 생산 -> 운전 -> 폐기
2. 위험성평가기법의 분류
- 분석 방향에 따른 분류
귀납적 기법 : 사례에서 일반화 ex) FMEA, HAZOP
연역적 기법 : 일반 이론에서 특수사례 도출 ex) FTA
3. 위험성평가기법 유형별 비교
유형 | 대표 기법 | 대표 기법 | 설명 |
순서적 기법 | 선형적 원인 → 결과 | 도미노 이론, FTA, 5 Why | 직접 원인 분석에 강점, 전통적 방식 |
역학적 기법 | 잠재 요인 → 사고 결합 | 스위스 치즈 모델, HFACS | 조직문화 + 인간오류를 통합적으로 분석 |
시스템적 기법 | 복합 시스템 상호작용 | STAMP, FRAM, AcciMap | 현대 복잡 시스템 사고를 종합적으로 설명 가능 |
4. 주요 위험성평가기법 정리
✅ HAZOP (위험과 운전분석)
- 정성적 기법
- 가이드워드(예: More, No, Reverse)와 변수(예: Flow, Pressure)를 조합
- 브레인스토밍 방식으로 사고 가능성 도출
✅ FMECA (고장유형 및 위험성 분석)
- 정량적 기법
- FMEA(고장유형 및 영향 분석)에 치명도 분석(CA)이 결합됨
- 위험우선순위번호(RPN) = 중대성 × 발생률 × 감지율
✅ FTA (결함수분석)
- 정량 + 정성 기법
- 재해(Top Event) → 원인(AND, OR 게이트 이용) 분석
- 최소 컷세트, 패스세트 분석으로 위험요소 파악
✅ ETA (사건수분석)
- FTA와 반대 방향 분석: 초기사건 → 시나리오 전개
- 안전기능이 작동/실패에 따른 각 결과를 나뭇가지로 분석
✅ CCA (원인결과분석)
- FTA + ETA 결합형
- 원인부터 결과까지 한눈에 파악 가능
4. 작업자 실수 분석(HEA)
- 정성적 기법, 사람의 실수에 집중
- 위험업무를 작업계획 vs 작업수행 으로 나누어 실수 가능성 예측
- 잠재위험지수(PHI) 산정
- 본질위험점수, 위험취약점수, 빈도점수 기반
5. 체크리스트 분석
- 가장 간단한 형태의 평가
- 법·기준·작업경험 기반으로 항목화된 목록을 사용해 점검
- 장점: 접근성 높음 / 단점: 주관성, 항목 누락 가능
6. 상대위험순위결정(DMI)
- 수치 기반 비교 기법
- Dow & Mond Index: 화재·폭발 위험성 수치화
- 현재는 사용 제한적
'산업안전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관리] MSDS에 대하여 (0) | 2025.04.25 |
---|---|
[산업안전관리] 자율안전보건활동과 개인보호구의 이해 (0) | 2025.04.25 |
[산업안전관리] 산업재해조사와 위험성평가: 원인 분석에서 예방 대책까지 (0) | 2025.04.19 |
[산업안전관리] 산업안전보건관리: 개념, 법령, 사고원인 이론의 통합적 이해 (3) | 2025.04.17 |
[산업안전관리] 산업안전보건관리 개론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