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데이터베이스 관리론6

[데이터베이스 관리론] 데이터베이스 관리 * 데이터베이스 관리(Administration): 데이터베이스를 보호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 데이터베이스 구조 관리 및 유지: 데이터 활동 관리: DBMS 관리: 데이터베이스 신뢰성 제공: 데이터베이스 보안 제공: 문서의 발간 및 유지 *경영 측면- 데이터 표준: 여러 데이터 자료 형(Data Type): 동일 데이터에 다른 이름: 여러 형식 (format)- 데이터 정책: 보안,권한,데이터 공표 범위- 데이터 Conflict 해결 * 데이터베이스 Query 처리Query -> Parser&Translator -> Relational Algebra -> Optimizer -> Evaluation Engine -> Query Output Optimizer Statistics abou.. 2024. 6. 15.
[데이터베이스 관리론] 관계 데이터 모델 * 관계 데이터 모델의 표현 1:1 Relationship 1:N Relationship M:N Relationship Recursive Relationship ISA Relationship * 2단계 설계개념 스키마 설계  * ER 모델의 관계 데이터베이스로의 변환- 이진관계(Binary Relationships) : Relationship이 3개 이상일 경우 무조건 2개로 바꿔줘야함why? : 상용 DBMS에서 3개 이상을 지원하지 않아서- 개체(Entity) => 정규화 관계(Normalized Relation) : Table혹은 관계로 표현이 되어야 함- 종속 개체(Weak Entity) => ID 종속 관계 * 1:1 or 1:N Relationships.. 2024. 4. 22.
[데이터베이스 관리론] 정규화에 관하여 * 정규화함수적 종속(functional dependency) 관계를 이용하여 삽입, 삭제, 변경 시 발생할 수 있는 이상 현상(anomaly) 제거하여 관계 데이터 모델 설계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법이상 현상을 없애기 위해서 Table을 분리하고 join 하는 과정을 거쳤지만 Side Effect으로 시간이 오래걸리는 현상이 발생 함 * 함수적 종속(functional dependency)- 속성 X의 값이 속성 Y의 값을 결정하면 Y는 X에 함수적 종속- 즉, X의 값을 알면 Y의 값도 알 수 있음 예시) 학번 → 전공 컴퓨터_일련 번호 → 기억_장치_용량(학번, 과목명) → 점수 * Determinant 형태학번기숙사월세100월평관320150아주관.. 2024. 4. 1.
[데이터베이스 관리론] ER Modeling * ER Modeling은 Data Modeling의 일종으로 Data Modeling은1) 데이터와 데이터의 관계 표현,2) Data의 무결성 관리(예시 : 동일 Data가 들어오면 차단시킨다)를 위해 수행한다. 정리하자면,- 데이터 모델링은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관점을 표현하기 위한 과정- 개체와 속성은 개발자가 정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정하는 것임 (자동차의 ER모델 분석 -> 사용자가 어떻게 보느냐)사용자가 모르는 DATA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유추해서 채워넣어야 하는데 이럴 경우에는 검증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ER 모델은 사용자의 데이터 모델, 데이터 구조와 사용자 작업 환경하에서 데이터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언어- ER 모델은 개체, 속성, 인식자, .. 2024. 3. 1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