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생산운영관리12

[생산운영관리] 공급사슬관리 (SCM) 채찍효과 완화 대책: 수요 변동폭 감소 전략 사례• 판촉 활동은 신제품에 집중.• 타 제품에 대해서는 판촉, 가격 인하 활동 자제하여 수요 변동폭 감소 유도.• 판촉 활동 비용 절약하여 생산과 물류에 투자: 생산성 증대와 비용 감소 및, 채찍효과 감소에 따른 비용 절약.  Vendor‐managed Inventory (VMI) 공급업체 관리 재고• 공급사슬의 한 주체인 공급업체가 고객인 하류 참가자(판매자, 유통업자, 생산자)의 재고를 직접 관리(주문 생성 및 재고 보충) 하는 전략.• 예: 물품 공급자가 직접 유통업자의 물류센터 재고 혹은 판매자의 매장 재고 관리: 판매 기업 매장의 판매 시점 (point of sale, POS) 정보와 재고 정보를 EDI시스템을 통하여 정기적으로 혹은 실시간으로 제조.. 2024. 6. 16.
[생산운영관리] 일정계획, Gantt 차트, 작업 순서 지정 일정계획/일정관리 (Scheduling)• 일정계획은 대개 작업의 수행 시각 정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일정계획은 일반적으로 한 무리의 작업들에 대하여, 이들간의 상대적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이 작업들을 수행할 자원(기계 등)을 할당하는 절차, 과정, 방법론 등을 일컷는다.  일정계획/일정관리 예• 생산 일정계획 : 어떤 제품을 언제 만들어야하는지, 어떤 장비를 사용하는지, 어떤 작업 순서가 적당한지 등.• 인력 일정계획 : 충분하면서도 최소한의 인력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각 시간별 일하는 직원 명단 작성.• 자원 일정계획 : 여러 작업/직원 간의 사용/공유/접근울 위한 자원 사용 계획.• 작업 일정계획 : 어떤 자원에 대하여 특정 시간/주문에 따라 그 자원에 작업 할당.  생산, 운영관리에서의 일.. 2024. 6. 16.
[생산운영관리] 자재소요계획 (MRP), 주일정계획 (MPS), 자재명세서(BOM) * 자재소요계획 (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제품의 생산에 소요되는 자재의 수량과 준비 시점을 결정하는 방법론 혹은 수량과 시점에 대한 계획자재소요계획에서의 자재는 생산에 소요되는 부품, 원료 등 광범위한 원자재, 부자재를 의미.좁은 의미의 자재: 소재, 원료 * 생산운영 계획의 일반적 단계와 구조 (이전 생산운영계획의 종류와 구조 글 참고)전략적 생산용량계획(장기, 추상적, 총괄적, 전략적) -> 판매 및 생산 계획,총괄 계획 (중기) -> 주 일정 계획 (중기) -> 자재소요계획 (중기) -> (단기)일정계획 (구체적,상세,전술적) * 자재소요계획의 목표 결과물생산에 필요한 각 자재별, 가공, 구매, 조립의 시기와 수량에 대한 계획 * 자재소요계획 생성에 사용되는 .. 2024. 6. 16.
[생산운영관리] 총괄생산계획(AP), 판매및생산계획(S&OP) * 총괄생산계획: 중기적인 수요에 대응하는 생산량(생산능력)에 대한 계획 : Aggregated Planning 중기 수요(예측)에 기반한 (판매)계획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이 기간 동안에 대한 시기별 생산 수준(생산량)과 이 생산량에 대등하는 일반화된 생산 자원, 고용, 재고, 외주 등의 수준을 정하는 계획. * AP의 주요 특징계획 대상 전체 기간의 길이: 중기=> 중기: 3 개월에서 18 개월은 전반적인 통합적 계획에 적합.결정할 변수: 생산, 재고, 노동력, 초과 근무, 외주 등의 양계획: 생산활동과 자원 소요의 전반적인(총괄적) 수준 * 용어 “총괄”의 함의• 기간: 중(장)기에 걸친 통합• 수요 분석: 고객 집단별로 총괄• 공급 계획: 제품군별로 총괄 * 제품군 “총괄”의 함의• 개별.. 2024. 6.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