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산업재해 개념과 구분
산업재해 정의 (산안법 제2조) : 업무와 관련한 설비, 환경, 작업 등으로 인해 사망·부상·질병을 입는 것
사건(Incident) : 사고로 발전할 수 있었던 모든 사건 (아차사고 포함)
사고(Accident) : 실제로 손상·피해가 발생한 사건
아차사고(Near Miss) :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으나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사건
2. 유해요인 vs 위험요인
유해요인 : 소음, 진동, 방사선, 분진 등 → 건강 문제 유발
위험요인 : 낙하물, 전기, 기계 등 → 물리적 사고 유발
3. 안전보건관리의 8대 원칙 (ISO/IEC 등 국제 기준 기반)
1. 최고경영자의 의지가 중요
2. 설계·계획 단계에서의 안전 확보
3. 휴먼에러의 근본 원인을 중시
4. 사람은 실수하고 기계는 고장난다는 전제 하 대책 수립
5. 안전 여부 불확실 시 "위험"으로 간주
6. 절대안전은 불가능, 잔류위험 고려
7. 전 구성원의 참여가 필요
8. 공정하고 투명한 입증 절차 필요
4. 주요 사고 사례
Three Mile Island 원전 사고 (1979) :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결함
챌린저호 폭발 사고 (1986) : 기술자 경고 무시, 관리자 판단 실패
5. 사고원인 이론 및 모델
-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 1:29:300 법칙, 불안전행동 강조
- 버드의 손실인과모델 : 기본 원인 → 직접 원인 → 사고 → 손해
- 리즌의 스위스 치즈 모델 : 조직적 실패와 작업자 에러의 결합
- SRK 모델 (라스무센) : 숙련 기반 → 규칙 기반 → 지식 기반 행동
- SHELL 모델 :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환경, 인간 요소 간 상호작용
6. 산업재해 원인 분석 구조
직접 원인 | 불안전행동, 불안전상태 |
간접 원인 | 기술적 원인, 교육적 원인, 신체적 원인, 정신적 원인, 관리적 원인 등 |
기초 원인 | 조직의 예방 조치 미흡,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부재, 리더십 부족, 제도적 결함 등 |
'산업안전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관리] MSDS에 대하여 (0) | 2025.04.25 |
---|---|
[산업안전관리] 자율안전보건활동과 개인보호구의 이해 (0) | 2025.04.25 |
[산업안전관리] 시스템안전과 위험성평가기법의 이해 (1) | 2025.04.22 |
[산업안전관리] 산업재해조사와 위험성평가: 원인 분석에서 예방 대책까지 (0) | 2025.04.19 |
[산업안전관리] 산업안전보건관리 개론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