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76

[산업안전관리] 산업재해조사와 위험성평가: 원인 분석에서 예방 대책까지 1. 산업재해조사의 목적과 원칙- 재해의 외형보다는 '근본 원인 파악'이 중요- 사람, 설비, 환경, 작업 방법, 관리 체계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 단순히 '근로자의 실수' 만을 탓해서는 안되며, '관리 시스템의 결함' 도 조사해야 함- '재해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수립'이 조사 목적 2. 산업재해조사의 절차- 피해자 구급조치- 2인 이상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조사 실시- 현장보존, 사진 및 증거 확보- 피해자,목격자의 사실 중심 진술 확보- 불안전 행동/상태뿐 아니라 간접 원인까지 파악- 객관적이고 공정한 태도로 조사- 필요시 전문가 의뢰 3. 산업재해 발행 보고 관련 법행- 산안법 제 57조 : 발생 사실을 은폐해서는 안 되며, 일정 조건의 재해는 반드시 보고해야 함- 시행규칙 제 7.. 2025. 4. 19.
[산업안전관리] 산업안전보건관리: 개념, 법령, 사고원인 이론의 통합적 이해 1. 산업재해 개념과 구분산업재해 정의 (산안법 제2조) : 업무와 관련한 설비, 환경, 작업 등으로 인해 사망·부상·질병을 입는 것사건(Incident) : 사고로 발전할 수 있었던 모든 사건 (아차사고 포함) 사고(Accident) : 실제로 손상·피해가 발생한 사건 아차사고(Near Miss) :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으나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사건 2. 유해요인 vs 위험요인유해요인 : 소음, 진동, 방사선, 분진 등 → 건강 문제 유발 위험요인 : 낙하물, 전기, 기계 등 → 물리적 사고 유발 3. 안전보건관리의 8대 원칙 (ISO/IEC 등 국제 기준 기반)1. 최고경영자의 의지가 중요 2. 설계·계획 단계에서의 안전 확보 3. 휴먼에러의 근본 원인을 중시 4. 사람은 실수하고 기계는 고장난.. 2025. 4. 17.
[산업안전관리] 산업안전보건관리 개론 1. 산업안전보건의 개념안전의 정의- 위험이 없거나 수용 가능한 수준까지 억제된 상태- 현실적으로 '절대 안전'은 존재하지 않음- KOSHA-MS 기준 : 유해.위험요인을 관리하여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 위험성(Risk)의 정의- 사고의 발생 가능성과 중대성의 결합- MIL-STD-882E, ISO/IEC Guide 51, 산업안전보건법 기준 ALARP(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 원칙- 경제성, 기술적 한계 등을 고려하여 위험을 최저 합리적 수준까지 낮추는 원칙- ALARP 구역은 완전히 안전하지 않지만 허용 가능한 위험 구간으로 본다. 2. 산업재해 및 사고의 개념산업재해의 정의업무 관련 요소(기계, 가스, 설비 등)로 인한 사망·부상·질병.자살도 업무로 .. 2025. 4. 16.
[딥러닝] DNN 설계에 관한 핵심 내용들 1. DNN 설계의 핵심 원리입력 -> 은닉층(복수 가능) -> 출력층각 층에서는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이루어진다. 설계시 고려사항- 은닉층 수가 너무 많으면 과적합 발생- 출력층 활성함수는 문제 유형(분류/회귀)에 따라 선택 2. 활성함수 정리 및 문제점이름역할특징Sigmoid이진 분류용, 출력값(0~1)Gradient Vanishing 문제 발생-> 학습이 느려짐Tanh출력값 (-1~1), 중심이 0Sigmoid보다 학습 안정ReLU0이하는 0, 나머지는 그대로빠르고 간단하지만 죽은 뉴런 문제(dead neuron)Leaky ReLU음수도 작은 기울기 유지ReLU 개선 버전ELU, Swish비선형 표현력 + 부드러움성능 우수, AutoML에서 많이 사용Softmax다중 분류용, 확률로 변환출력값의 총.. 2025. 4.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