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85

[산업안전관리] 자율안전보건활동과 개인보호구의 이해 1. 자율안전보건활동정의 : 최고경영자 주도 하에 전 구성원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안전보건 활동괸리활동(수직 구조), 자율활동(수평 구조)의 시너지가 중요예시) 무재해운동, 위험예지활동, TBM, 안전점검, 아차사고 보고 등 2. 무재해운동의의 : 모든 재해 제로를 목표로 하는 운동 (1979년 노동부 주관 시작)3원칙 : 제로의 원칙, 선취의 원칙, 참가의 원칙3요소 : 경영자의 의지, 라인화된 안전활동, 현장 자율참여 3. 위험예지활동정의 : 작업 전 위험요소를 미리 인식하고 대책을 수립하는 훈련기본 방식 : 4라운드법 (현상파악 -> 본질추구 -> 대책수립 -> 목표설정)활동 형태 : 팀 위험예지활동, 작업지시자 위험예지활동, 1인 위험예지활동 등차이점 : 위험예지훈련은 감수성과 문제해결 능력을 기.. 2025. 4. 25.
[산업안전관리] 시스템안전과 위험성평가기법의 이해 1. 시스템안전(System Safety)의 개념정의 : 시스템 수명주기 전 과정에서 수용 가능한 위험 수준을 확보하기 위한 과학.공학.관리적 접근단순 요소가 아닌, 시스템 전체를 대상으로 위험을 예측하고 통제시스템 수명 주기 : 구상 -> 정의 -> 개발 -> 생산 -> 운전 -> 폐기 2. 위험성평가기법의 분류- 분석 방향에 따른 분류귀납적 기법 : 사례에서 일반화 ex) FMEA, HAZOP연역적 기법 : 일반 이론에서 특수사례 도출 ex) FTA 3. 위험성평가기법 유형별 비교 유형 대표 기법 대표 기법 설명순서적 기법선형적 원인 → 결과도미노 이론, FTA, 5 Why직접 원인 분석에 강점, 전통적 방식역학적 기법잠재 요인 → 사고 결합스위스 치즈 모델, HFACS조직문화 + 인간오류를 통.. 2025. 4. 22.
[딥러닝] CNN 구조를 한눈에! 1. CNN이란?이미지 인식에 특화된 딥러닝 모델일반 DNN은 이미지의 공간 구조를 무시하고 1차원으로 펼침→ 위치 정보 손실, 파라미터 수 증가CNN은 위치, 모양, 패턴을 잘 포착함 2. CNN의 생물학적 배경Hubel & Wiesel (1959): 고양이 시각 피질 실험 → 계층 구조로 시각 자극을 처리하는 뉴런 발견Kunihiko Fukushima: Neocognitron 제안Yann LeCun: LeNet-5 → 최초의 CNN 모델 3. CNN 핵심 구조 입력 → Convolution → ReLU → Pooling → Flatten → FC Layer → Softmax 🔹 Convolution 연산필터(커널)를 이미지에 슬라이딩하며 특징 추출실제 CNN에서는 cross-correlation .. 2025. 4. 20.
[딥러닝] DNN 학습의 원리와 최적화 전략 1. 신경망 학습의 의미정답(label)은 있지만 규칙은 주어지지 않음 → 신경망이 데이터를 보며 스스로 함수적 관계(mapping)를 학습Neuron(가중치합 + 활성함수) → Layer → Network 2. 최적화란?정답을 수학적으로 계산할 수 없을 때, 근사적으로 최선의 값을 찾는 방법목적함수를 최소화/최대화예: 식단 구성에서 비용 최소화 + 영양소 조건 만족 회귀 = 오차 최소화 / 분류 = 확률 차이 최소화 3. Gradient Descent (경사하강법)손실 함수의 기울기 방향으로 이동하여 최솟값 탐색 4. Backpropagation AlgorithmLoss의 gradient를 출력 → 은닉 → 입력 방향으로 전달Chain rule 이용 → 효율적인 미분 계산으로 가중치 업데이트 5. .. 2025. 4. 20.
[딥러닝] 딥러닝 모델은 어떻게 학습되는가? – DNN & CNN 학습 구조 1. Gradient와 Jacobian의 차이항목GradientJacobian정의스칼라 함수의 편미분 벡터벡터 함수의 편미분 행렬형태1차원 벡터2차원 행렬사용DNN의 파라미터 업데이트다층 신경망, 출력 다중인 경우 즉, Gradient는 기울기, Jacobian은 벡터 기울기의 집합 2. Forward & Backward PropagationForward Propagation (순전파): 입력 → 가중치합 → 활성화함수 → 출력 Backward Propagation (역전파): 출력 오류 → 기울기 계산 → 가중치 업데이트 핵심 공식 (오차 역전파):3. 경사하강법 종류 (BGD vs MBGD vs SGD)방식설명단점BGD (Batch)전체 데이터로 한 번 업데이트정확하나 느림SGD (Stochasti.. 2025. 4. 20.
[산업안전관리] 산업재해조사와 위험성평가: 원인 분석에서 예방 대책까지 1. 산업재해조사의 목적과 원칙- 재해의 외형보다는 '근본 원인 파악'이 중요- 사람, 설비, 환경, 작업 방법, 관리 체계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 단순히 '근로자의 실수' 만을 탓해서는 안되며, '관리 시스템의 결함' 도 조사해야 함- '재해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수립'이 조사 목적 2. 산업재해조사의 절차- 피해자 구급조치- 2인 이상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조사 실시- 현장보존, 사진 및 증거 확보- 피해자,목격자의 사실 중심 진술 확보- 불안전 행동/상태뿐 아니라 간접 원인까지 파악- 객관적이고 공정한 태도로 조사- 필요시 전문가 의뢰 3. 산업재해 발행 보고 관련 법행- 산안법 제 57조 : 발생 사실을 은폐해서는 안 되며, 일정 조건의 재해는 반드시 보고해야 함- 시행규칙 제 7.. 2025. 4.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