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저 리서치 분석
1. 콘텐츠 분석 (Content Analysis)
절차 | 설명 | 예시 |
① 주제 파악 및 데이터 분류 | 핵심 키워드, 행동, 대화 등 파악 | “자신감 향상”, “팀워크 개선” |
② 카테고리 생성 | 주제들을 상호 배타적으로 분류 | 퍼포먼스, 감정, 행동 등 |
③ 인스턴스 카운트 | 빈도 분석으로 중요도 파악 | 퍼포먼스 관련 발언: 23회 |
④ 패턴 분석 | 카테고리 간 연관 관계 도출 | “자신감” → “발표 능력 향상”과 연결 |
📌 인스턴스란 개념의 실제 사례 (ex. 사용자 발언)
2.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Affinity Diagram)
"Affinity" : '친밀감', '유사성', '관련성' 등을 의미
- 대량의 정성 데이터를 포스트잇에 적어 그룹핑
- 팀원들과 참여형 분석 방식
- 흐름도 : [데이터 수집] → [포스트잇 작성] → [그룹핑] → [패턴 도출 및 명명] → [사진 기록]
3. 페르소나 (Persona)
항목 | 내용 | 예시 |
기본 정보 | 이름, 나이, 직업 | 김UX, 29세, 마케터 |
태도/목표 | 제품에 대한 생각 | "쉬운 UI 원함" |
행동/과업 | 사용 방식 | 모바일로 자주 접속 |
인용문 | 생생한 사용자 느낌 | "앱이 너무 복잡해요" |
4. 사용자 스토리 / 사용자 니즈
형식: 나는 [사람]으로서, 나는 [무엇을 원하고], 왜냐하면 [이유]
사용자 | 요구 | 이유 |
여행자 | 계정 생성 기능 원함 | 지난 기록 재열람 위해 |
1인가구 | 소형 선풍기 원함 | 공간 절약 필요 |
5. 멘탈모델 (Mental Model)
- 사용자의 직관적 기대/이해를 기반
- UI/UX는 사용자 멘탈모델에 부합해야 함
📌 기부 예시 멘탈모델 도식: [기부 결심] → [기부처 탐색] → [기부 방법 고민] → [기부 실행]
6. 공감지도 (Empathy Map)
관찰 요소 | 질문 예시 |
보고 듣고 말하는 것 | 어떤 콘텐츠를 보는가? |
행동 | 어떻게 앱을 사용하는가? |
생각/느낌 |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는가? |
Pain/Gain | 무엇이 불편한가? / 원하는 것은? |
7. JTBD (Job To Be Done)
고객은 제품이 아닌 문제 해결을 위해 구매
✅ 예시: "드릴이 아니라, 벽에 구멍을 원함"
💡 ATM 사례:
기존: 현금 인출 → 카드 회수 ❌
개선: 카드 회수 → 현금 인출 ✔
8. UX 디자인 프로세스 (Design Thinking)
5단계 프로세스
단계 | 설명 | 관련 도구 |
공감 (Empathize) | 사용자 관찰 | 공감지도, 인터뷰 |
정의 (Define) | 문제 명확화 | JTBD, 페르소나 |
아이디어 (Ideate) | 해결안 도출 | 브레인스토밍, Crazy 8’s |
프로토타입 (Prototype) | 시제품 제작 | 스케치, 와이어프레임 |
테스트 (Test) | 피드백 반복 | 사용성 테스트 |
프로토타입의 3단계
종류 | 시각적 수준 | 설명 |
Low-Fi | 낮음 | 스케치 수준 |
Mid-Fi | 중간 | 와이어프레임, 유저 플로우 |
High-Fi | 높음 | 실제 앱 유사 디자인 |
✅ 개발 프로세스 비교
항목 | 워터폴 | 애자일 |
개발방식 | 순차적 | 반복적 (Sprint) |
유연성 | 낮음 | 높음 |
피드백 시점 | 출시 후 | 개발 중 수시 |
팀 구성 | 위계 중심 | 소규모 분산팀 (Squad) |
🧠 기억하면 좋은 UX 용어 정리
용어 | 정의 |
Persona | 가상의 사용자 프로필 |
Affinity Diagram | 팀 기반 정성 데이터 그룹핑 |
JTBD | 사용자의 ‘과업’을 중심으로 분석 |
Story Mapping | 사용자 스토리를 시간+우선순위로 시각화 |
Empathy Map | 사용자의 생각/행동/감정 분석 |
Prototype | 아이디어의 시각화된 시제품 |
Agile / Sprint | 반복적 개발 방식 / 개발 주기 |
'UX,UI'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 UI] UX 디자인 원리와 심리학에 기반한 사용자 중심 설계 전략 (0) | 2025.06.21 |
---|---|
[UX,UI] 사용자 중심 UX 설계에 대하여 (1) | 2025.05.17 |